지난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고신용자에게 초저금리를, 저신용자에는 조금이라도 이자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언급해 은행권의 신용점수에 대해 이슈화되고 있다. 금융사들이 신용점수를 중시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신용점수가 높은 고객은 ‘돈을 잘 갚아줄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되어 낮은 금리와 높은 한도를 받는다. 반면 낮은 신용점수는 연체 위험이 크다는 평가를 받아 대출은 물론, 신용카드 발급 자체도 어려워진다.
최근 들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평균 신용점수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그만큼 ‘초고신용자’만 대출 문턱을 넘을 수 있는 현실이 된 것이다. 예컨대, 마이너스통장(마통)은 평균 신용점수 962점이 되어야 발급이 가능할 정도다. 이처럼 금융권이 보수적으로 움직이면서 중저신용자가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더욱 어려워진 것을 사실이다.
신용점수 연대책임? 국민 인식은 냉랭
다만 대통령의 발언이 나온 이후, 국민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고신용자가 저신용자를 ‘보완’해야 한다는 뉘앙스가 비치면서, 일부에서는 “열심히 관리한 사람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실제로 온라인 커뮤니티와 기사 댓글에는 “내가 왜 남의 빚을 대신 감당해야 하느냐”, “신용점수 관리를 열심히 해온 사람만 손해 보는 제도”라는 반응이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고신용자에게 직접적인 불이익을 주는 구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도, “저신용자에게 더 낮은 금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보증·지원 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즉, 신용체계를 개인 책임만으로 돌리지 않고, 사회적 안전망을 함께 마련하는 방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왜 미리 챙겨야 할까? ‘내 신뢰의 증거’이기 때문이다
신용점수는 ‘금융 이력서’와 같다. 아무리 큰 자산을 갖고 있어도 거래 기록이나 상환 실적이 부족하면 평가가 낮다. 이는 대출 한도와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한 번 낮아진 신용점수는 회복이 쉽지 않다. 연체 한 번이 몇 년간 부담으로 남을 수 있다. 따라서 대출이 필요할 때 당황하지 않도록 미리미리 관리하고 쌓아두는 습관이 필수다.
대통령 발언처럼 정책 변화는 가능해도, 신용체계 자체가 바뀌기는 쉽지 않다. 결국 가장 강력한 무기는 ‘내 신용점수’를 잘 관리하는 것뿐이다. 은행 문턱에 막히지 않으려면, 연체 없이 카드와 공공요금 성실하게 사용하고, 주거래 은행 거래를 꾸준히 쌓으며, 마이너스통장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신용점수는 나를 위한 보험이며, 언제든 금융이 필요할 때 빛을 발하는 ‘내 통장 속 비밀 무기’이다.
신용점수 올리는 핵심 포인트 | 실천 방법 |
---|---|
연체는 절대 금물 | 소액이라도 5일 이상 연체하면 신용점수에 큰 타격(이지론) |
신용카드․체크카드 ‘건전하게’ 사용 | 체크카드 월 30만 원 이상 6개월 사용 시 4~40점 가산(토스) |
공공요금 성실 납부 실적 활용 | 통신요금·보험료 납부 실적 제출 시 5~17점 가산(토스) |
주거래 은행 거래 집중 | 자동이체·급여이체·장기거래 실적은 신용평가에 긍정적(토스) |
마이너스통장 사용률 관리 | 한도 대비 30~40% 사용 유지, 잔액은 신속히 낮출 것(뱅크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