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김길숙 교수와 대전대학교 상담학과 문영경 교수 공동연구팀은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2024년 제7차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400여 명의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분석 결과, 어머니가 얼마나 스트레스를 느끼느냐가 아이의 문제행동 발생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스트레스 점수가 29점 미만일 경우 아이가 문제행동을 보일 확률은 3.9%였지만, 스트레스 점수가 36점을 넘으면 그 확률은 25.8%까지 높아졌다.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아이의 문제행동 위험이 6배 이상 차이 나는 셈이다.
아이의 기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확인됐다.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낮더라도, 아이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경우 문제행동 위험은 11.1%로 상승했다. 이는 아이의 타고난 성향과 부모의 양육 환경이 함께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 기법을 활용했다. 이 방법은 어떤 조건에서 문제행동 위험이 높아지는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부모나 교사들이 실제 양육이나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다.
김길숙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한 학술적 분석을 넘어, 부모를 위한 지원 정책이나 육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건소나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아이의 기질을 함께 진단해보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 SSCI 학술지 ‘아동방달과 보육(Child Development and Car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