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비만, 한국도 ‘심각’… 설탕세 도입 더는 미룰 수 없다

비만 1등급 국가 될 수도… “청소년 식습관, 국가가 개입해야”
청소년 비만, 한국도 ‘심각’… 설탕세 도입 더는 미룰 수 없다 1

사진출처: 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청소년 비만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남학생은 증가 속도만 보면 전 세계 상위권이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현실을 인정하고, 설탕세 같은 실질적인 정책을 도입할 때”라고 지적한다.

27일 국회에서 열린 ‘소아청소년 비만 현황과 대책’ 토론회에서는 그간의 통계 분석과 정책 방향, 재원 마련 방안까지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연세대 김현창 교수는 “남성 청소년 비만 증가 속도가 세계 19위로, 200개국 중 상위 10% 수준”이라며 “이는 단순한 생활습관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불균형, 교육 수준, 소득 격차와 맞물린 복합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여성 청소년은 같은 기준으로 78위였다.

문제는 이 같은 흐름이 2010년대부터 이미 시작됐고, 지금도 빠르게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생활 개선 권고로는 해결이 어렵다고 본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설아람 박사는 “부모들도 식단과 운동이 중요하다는 건 알지만 현실적으로 실천이 어렵다”며 “비만 진료가 가능한 전문 인력도 현장엔 너무 부족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병원 현장에는 소아 비만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전담 간호사, 운동치료사, 심리상담 인력이 평균 1명도 안 되는 수준이다. 그래서 제기되는 해법 중 하나가 바로 ‘설탕세’다. 가당음료는 영양은 거의 없지만 청소년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식품으로 이미 전 세계 100여 개국이 설탕세를 도입했다.

실제로 멕시코·칠레 등에서는 설탕세 이후 가당음료 소비가 확 줄었고, 영국은 ‘당 함량 차등 과세’로 식품업체들이 당을 줄이도록 유도했다. 다만 설탕세 도입에 대해선 보건당국 입장에서는 반가운 정책이지만,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제 논의를 더 늦출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 청소년 비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나서야 할 공공의 문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